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은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 중 하나이다. 중앙위원회가 선출하며, 중앙위원회 폐회 기간 동안 권한을 대행한다. 당의 노선, 방침, 정책을 집행하고, 주요 정책을 결정하며, 주요 간부의 임면을 심사·비준한다. 정치국 위원은 부국급 이상의 지도자들로 구성되며, 매월 1회 회의를 개최한다. 1980년대에는 중앙비서처가 정치국을 능가하는 권력을 행사하기도 했으나, 이후 정치국이 주도적인 세력으로 부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는 중국 공산당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며, 정치국의 일상 업무를 수행하고, 1928년 설립 이후 명칭 변경과 권력 강화 과정을 거쳐 현재 7명의 상무위원으로 구성된다. - 중국공산당에 관한 -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는 중국공산당의 최고 군사 기관으로 중화인민공화국 중앙군사위원회와 함께 중국의 군사력을 통솔하며, 주석, 부주석, 위원으로 구성되고 중앙군사위원회 주석은 사실상 중국의 최고 지도자이며, 판공청, 기율검사위원회, 전략위원회 등 산하 기구를 통해 군사 업무를 수행한다. - 중국공산당에 관한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는 중국 공산당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며, 정치국의 일상 업무를 수행하고, 1928년 설립 이후 명칭 변경과 권력 강화 과정을 거쳐 현재 7명의 상무위원으로 구성된다.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에 관한 - 류윈산
류윈산은 내몽골 출신의 중화인민공화국 정치인으로, 중국 공산당의 주요 직책을 역임하며 이념 및 선전 분야에서 활동했고, 보수적인 성향으로 언론 통제 정책을 추진했으며, 2017년 은퇴했다.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에 관한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는 중국 공산당과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이며, 정치국의 일상 업무를 수행하고, 1928년 설립 이후 명칭 변경과 권력 강화 과정을 거쳐 현재 7명의 상무위원으로 구성된다.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
로마자 표기 | Zhōngguó Gòngchǎndǎng Zhōngyāng Zhèngzhìjú |
위구르어 표기 | جۇڭگو كومپارتىيەسى مەركىزىي سىياسىي بيۇروسى |
다른 이름 | 정치국 |
로마자 표기 (다른 이름) | Zhèngzhìjú |
영문 명칭 | Political Bureau of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
조직 | |
선출 기관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
책임 기관 | 중앙위원회 |
의석수 | 24 |
회의 장소 | 화이런 홀, 중난하이 베이징, 중국 |
지도부 | |
지도자 | 시진핑 |
지도자 직책 | 중국공산당 총서기 |
관련 이미지 | |
![]() | |
![]() |
2. 역사
1927년 5월 제5기 당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제5기 1중전회)에서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이 설립되었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앙정치국과 그 사무 처리 기구인 중앙서기처의 구성원은 전국인민대표대회, 국무원, 중앙군사위원회 등의 국가 기구, 전국정치협상회의, 당 중앙의 각 부문 및 각지의 중요한 임무를 담당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치국 위원, 중앙서기처 서기, 중앙군사위원회 위원은 "중국의 지도부"로 여겨진다.
1990년대 이후, 정치국 위원들은 당 기구, 국가 직책, 지역 당 책임자 직책을 동시에 맡았다.[6] 2017년 제19기 중앙위원회 정치국에서는 당, 중앙정부, 지역 정부에서 각각 6명, 군에서 3명의 위원이 선출되었다.[6] 당시 정치국 위원들의 평균 연령은 62세였다.[6]
1980년대 초 호야오방(Hu Yaobang) 시대에는 중국 공산당 중앙비서처가 정치국을 능가했지만,[5] 1987년 호야오방이 축출된 후 정치국은 다시 주도적인 세력으로 부상했다.
중국 공산당의 최고 지도 기관은 일반적으로 5년에 한 번 열리는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서 선출되며, 당대회 폐회 중에는 그 권한을 대행하는 당 중앙위원회가 있다. 그러나 중앙위원회도 매년 1회 정도밖에 열리지 않기 때문에, 평상시 당의 지도 및 정책 결정은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선출되는 당 중앙정치국이 담당한다. 정치국은 중앙위원회 전체회의 폐회 중에 중앙위원회의 권한을 행사하고, 당대회나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채택된 노선, 방침, 정책을 집행한다. 중앙정치국에는 상위 기관으로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으며, 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의견을 바탕으로 정치국 회의가 당의 "전체적인 면에 관한 활동 방침, 정책"을 결정한다.[16] 정치국 회의는 매월 1회 개최되는 반면, 정치국 상무위원회는 매주 1회 개최되어 정치국 상무위원회가 일상적으로 정책을 기획, 실행하고 있다.
중앙정치국 및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는 차기 당대회 개최 중에도 당의 일상 활동을 계속 수행하고, 차기 중앙위원회에서 새로운 정치국 및 상무위원회가 선출될 때까지 업무를 수행한다.[17]
3. 구성 및 선출
정치국 위원은 중앙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선출된다. 제17차 전국대표대회 이후, '민주적 추천' 방식으로 정치국 후보 200명에 대한 예비 투표를 실시했으나, 시진핑 시대의 제19차 전국대표대회에서 '표 매수' 등의 문제를 이유로 폐지되었다. 이후 '대면 면접, 조사 및 연구' 방식으로 변경되었다.[10]
정치국 상무위원회에는 '칠상팔하'라는 암묵적인 정년제가 있었으나, 2022년 제20차 당대회에서 시진핑 등 69세 인사가 유임되고, 67세의 리커창, 왕양 등이 퇴임하면서 사실상 형해화되었다는 비판이 있다.[19]
일본의 중국 정치 연구자 츠보타 토시타카(坪田敏孝)에 따르면, 중앙정치국의 권한은 다음과 같다.[20]3. 1. 간부 양성
2001년,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는 『2001-2005년 국가 간부 양성 계획』을 발표하여 중국 경제 개혁을 위한 간부 양성의 중요성을 높였다. 당학교 직원의 급여는 일반 중국 대학교의 급여 수준으로 맞춰졌다. 교육, 연구 및 정보 기술이 현대화되어 당학교 시스템 전반에 걸쳐 원격 교육이 가능해졌다.[11]
현대 간부 양성은 '질'과 '능력'에 중점을 둔다. 학생들은 레닌주의와 당의 규율에 복종하는 이념적 순수성을 함양하는 교육을 받는다. 젊은 간부들은 지식을 창의적이고 독립적으로 적용하여 복잡한 문제에 유연하게 대처하고 지속적인 학습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훈련받는다.[11] 2002년 이후 간부 양성 노력은 중앙당학교와 상하이, 선전의 당학교를 포함한 지역 당학교의 지원을 받았다.[11]
4. 권한 및 기능
당 중앙위원회 전체회의 폐회 기간 동안 정치국은 중앙위원회의 권한을 대행하며, 당대회와 중앙위원회에서 채택된 노선, 방침, 정책을 집행한다.[16] 정치국 상무위원회의 의견을 바탕으로 당의 주요 정책을 결정한다.[16]
일본의 중국 정치 연구자 츠보타 토시타카(坪田敏孝)에 따르면, 중앙정치국의 권한은 다음과 같다.[20]
- 당대회와 중앙위원회가 확정한 노선·방침·정책에 기초하여, 당 중앙의 명의로 발표하는 전반적인 상황에 관한 활동 방침, 정책적인 문서에 대해 토론하고 결정한다.
- 중앙정치국 상무위원회의 활동 보고를 청취하고 심사한다.
- 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 당 중앙군사위원회,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당조(黨組), 국무원 당조가 제출한 중대 사항에 대해 심의한다.
- 당 중앙 각 부 부장(部長), 각 성(省)·자치구(自治區)·직할시(直轄市) 당위원회 서기(書記)와 국가기관 각 부장·위원회 주임(主任), 각 성 성장(省長)·자치구 주석(主席)·직할시 시장(市長)의 임면(任免) 지명을 심사·비준한다.
- 중앙위원회 전체회의(中央委員會全体會議)를 매년 1회에서 2회 개최한다.
- 중앙위원회에 대해 책임을 지고 보고하며, 그 감독을 받는다.
정치국은 일반적으로 한 달에 한 번 회의를 개최한다.[15] 또한, 정기적인 연구 모임을 통해 새로운 정책을 홍보한다.[12]
5. 회의 제도
정치국 회의는 통상 매월 1회 개최된다.[15] 회의는 민주집중제와 집단지도 원칙에 따라 운영된다.[21][22]
문제에 대한 결정은 소수가 다수의 의견을 따르는 원칙에 따라 표결로 이루어진다. 표결은 무기명 투표나 거수 등의 방법으로 할 수 있다.[21] 중요한 간부의 임명 또는 인선은 매번 표결을 거쳐야 하며, 표결 결과는 회의 주재자가 그 자리에서 발표한다.[21]
6. 역대 정치국 위원 명단
다음은 역대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명단이다.
1990년대 이후 정치국 위원들은 당 기구, 국가 직책, 지역 당 책임자 직책을 동시에 맡았다.[6] 일부는 중요한 성이나 직할시의 당 서기를 맡았다.[7] 2017년 제19기 중앙위원회 정치국에서는 중국공산당, 전국인민대표대회, 국무원,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등 4개 주요 제도 기관의 수장들을 제외하고 당, 중앙정부, 지역 정부에서 각각 6명, 군에서 3명의 위원이 있었다.[6] 2017년 정치국 위원들의 평균 연령은 62세였다.[6]
2017년 10월, 제19차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모든 정치국 위원들은 중앙위원회와 총서기에게 매년 서면 발표를 해야 한다고 결정했다.[8] 2018년 3월, 모든 상무위원과 정치국 위원들은 중앙위원회와 시진핑 총서기에게 첫 번째 서면 발표를 했다.[9]
제17차 전국대표대회 이후 정치국 위원을 선출하는 공식적인 방법은 "민주적 추천"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는데, 중국공산당은 정치국 후보 200명에 대한 예비 투표를 실시하여 중국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 제시된 최종 후보 명단에 반영했다. 그러나 시진핑 시대의 제19차 전국대표대회에서는 이 방법이 폐지되었는데, 시진핑 시대의 반부패 운동 이후 몰락한 정치인들과 관련하여 "표 매수"와 "개인적 관계와 호의에 근거한 투표"를 비난했다. 이 과정은 공식적으로 "대면 면접, 조사 및 연구" 방법으로 대체되었다.[10]
이름 | 출생년도 | 학력 | 직무 | 14기 | 15기 | 16기 | 17기 |
---|---|---|---|---|---|---|---|
후진타오 | 1942년 12월 | 칭화대학교 | 당 총서기 국가주석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정치국 상무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우방궈 | 1941년 7월 | 칭화대학교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원자바오 | 1942년 9월 | 베이징 지질학원 지질구조학부 석사 | 국무원 총리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자칭린 | 1940년 3월 | 허베이 공학원 | 전국정치협상회의 주석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리창춘 | 1944년 2월 | 하얼빈대학교 | 중앙정신문명건설위원회 주임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시진핑 | 1953년 6월 | 칭화대학교 | 국가부주석 중앙서기처 상무서기 | 중앙후보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
리커창 | 1955년 7월 | 베이징대학교 경제학 박사 | 국무원 상무부총리 | 중앙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
허궈창 | 1943년 10월 | 베이징 화학공업학원 | 중앙기율검사위원회 서기 | 중앙후보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저우융캉 | 1942년 12월 | 베이징 석유학원 | 중앙정법위원회 서기 | 중앙후보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상무위원 |
궈보슝 | 1942년 7월 | 중국인민해방군 군사학원 | 당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위원 | |
쉬차이허우 | 1943년 6월 | 하얼빈군사공정학원 | 당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중앙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
리위안차오 | 1950년 11월 | 복단대학교 | 중앙서기처 서기 당중앙조직부 부장 | 중앙후보위원 | 정치국 위원 | ||
후이량위 | 1944년 10월 | 길림성위당교 전문대학 | 국무원 부총리 | 중앙후보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위원 |
장더장 | 1946년 11월 | 연변대학교 조선어 전공 김일성종합대학 경제학부 | 국무원 부총리 | 중앙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위원 |
왕치산 | 1948년 7월 | 시베이 대학 | 국무원 부총리 | 중앙후보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
류윈산 | 1947년 7월 | 내몽골 자치구 집녕사범학교 | 중앙서기처 서기 당중앙선전부 부장 | 중앙후보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위원 |
류옌둥 | 1945년 11월 | 길림대학교 법학 박사 | 국무위원 | 중앙후보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
왕자오궈 | 1941년 7월 | 하얼빈 공업대학교 | 전인대 상무부위원장 중화전국총공회 주석 | 중앙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위원 |
왕강 | 1942년 10월 | 길림대학교 | 전국정치협상회의 상무부주석 | 중앙후보위원 | 정치국 후보위원 | 정치국 위원 | |
위정성 | 1945년 4월 | 하얼빈군사공정학원 | 상하이시 당위서기 | 중앙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위원 |
왕러취안 | 1944년 12월 | 중앙당교 석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당위서기 신장 생산건설병단 제1정치위원 | 중앙후보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위원 |
류치 | 1942년 11월 | 베이징과학기술대학교 야금학부 석사 | 베이징시 당위서기 | 중앙후보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정치국 위원 |
왕양 | 1955년 7월 | 중국과학기술대학교 공학 석사 | 광둥성 당위서기 | 중앙후보위원 | 정치국 위원 | ||
장가오리 | 1946년 11월 | 샤먼 대학 | 톈진시 당위서기 | 중앙후보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
보시라이 | 1949년 7월 | 중국사회과학원 | 충칭시 당위서기 | 중앙위원 | 중앙위원 | 정치국 위원 |
6. 1. 제20기(2022년 ~ 현재)
제20기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은 2022년 10월 제20기 중앙위원회 제1차 전체회의에서 선출되었다. 정치국 상무위원은 시진핑, 리창, 자오러지, 왕후닝, 차이치, 딩쉐샹, 리시 등 7명이다.[6]서열 | 이름 | 한자 | 사진 | 당직 | 국가직 |
---|---|---|---|---|---|
1 | 시진핑 | 习近平 | ![]() |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 당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국가주석,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주석 |
2 | 리창 | 李强 | 국무원 총리 | ||
3 | 자오러지 | 赵乐际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위원장 | ||
4 | 왕후닝 | 王沪宁 | 정치협상회의 주석 | ||
5 | 차이치 | 蔡奇 | 중앙서기처 제1서기 | ||
6 | 딩쉐샹 | 丁薛祥 | ![]() | 국무원 상무부총리 | |
7 | 리시 | 李希 | 중앙 기율검사위 서기 |
정치국 상무위원을 제외한 정치국 위원 명단은 다음과 같다.
이름 | 출생년도 | 직무 | 담당 분야 |
---|---|---|---|
마싱루이 (馬興瑞) | 1959 | 당 신장위구르자치구위원회 서기 | 신장 위구르 자치구 |
왕이 (王毅) | 1953 | 당 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 겸 외교부장 | 외교 |
인리 (尹力) | 1962 | 당 베이징시위원회 서기 | 베이징시 |
石泰峰|스태봉중국어 | 1956 | 당 중앙서기처 서기, 당 중앙통일전선공작부장 겸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 통일전선 |
류궈중 (劉國中) | 1962 | 국무원 부총리 | 농업·복지 |
리간제 (李幹傑) | 1964 | 당 중앙서기처 서기 겸 당 중앙조직부장 | 인사 |
李书磊|리수레이중국어 | 1964 | 당 중앙서기처 서기 겸 당 중앙선전부장 | 이데올로기 |
리훙중 (李鴻忠) | 1956 |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회 부위원장 | 전인대 |
허웨이둥 (何衛東) | 1957 |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겸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군사 |
허리펑 (何立峰) | 1955 | 국무원 부총리 | 재정·금융 |
장유샤 (張又俠) | 1950 | 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겸 국가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 국방·군사 |
장궈칭 (張國清) | 1964 | 국무원 부총리 | 산업·방재 |
천원칭 (陳文清) | 1960 | 당 중앙서기처 서기 겸 당 중앙정법위원회 서기 | 경찰·사법 |
천지닝 (陳吉寧) | 1964 | 당 상하이시위원회 서기 | 상하이시 |
천민얼 (陳敏爾) | 1960 | 당 톈진시위원회 서기 | 톈진시 |
위안자쥔 (袁家軍) | 1962 | 당 충칭시위원회 서기 | 충칭시 |
황쿤밍 (黃坤明) | 1956 | 당 광둥성위원회 서기 | 광둥성 |
6. 2. 제19기(2017년 ~ 2022년)
성명중국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
중국공산당 중앙군사위주석
국가주석

국무원 당조서기

전국 인민대 당조서기

정치협상회의 당조서기

중앙서기처 서기
중앙 기율검사위 서기

국무원 당조부서기